본문 바로가기
Career

이비인후과 비중격 성형술 (Septoplasty)

by 아나벨 2023. 1. 13.
반응형

비중격만곡증 코수술
만성 비염의 수술적 치료

1. 비중격 만곡증

비중격이란 코의 왼쪽 오른쪽을 나누는 벽을 뜻합니다. 연골과 골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고 미용적인 기능도 있습니다. 이런 비중격이 휘어진 것을 비중격 만곡증이라고 하는데 막 태어난 신생아에게도 있을 수 있고 정상적인 비중격을 갖고 있던 사람도 성장하면서 비중격이 휘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전적인 성향을 띄기도 하지만

자연 분만 시에 코에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면 비중격 만곡증이 생길 수도 있고 외상이나 종양, 장시간의 압박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비중격 만곡이 생기면 일반적으로 코가 막히는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비중격이 휘어짐으로 인해서 코가 좁아져서 생기기도 하고 장시간 비중격 만곡을 방치하면 비후성 비염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수면 시에 무호흡이 생겨 자는 동안 일시적으로 숨을 못 쉬기도 하고 후각 기능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따라서 주의력 결핍이나 기억력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비중격이 휘어저 코가 막히는 증상이 있을 때는 코 세척이나 비점막 수축제를 이용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완전한 개선을 위해서는 비중격 성형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비경으로 관찰하여 비중격 만곡이 얼마나 심한지 진단하고 엑스레이나 CT를 찍어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한 후 수술을 계획하게 됩니다. 비중격 성형술이란 이처럼 휘어있는 코뼈와 연골을 바로잡는 수술이고 수술의 종류에는 비중격 교정술과 전비중격 재건술이 있습니다. 수술 전에는 의사와 상의 하에 기존에 투여하던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 수술 이후에 비중격에 농양이나 혈종이 생길 수 있는데 천자나 절개 수술로 농양을 제거할 수 있고 후각 장애나 감각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수술 후 관리로는 멸균 생리 식염수로 코를 세척해 주고 코를 후비거나 세게 푸는 행동처럼 코에 자극이 갈만한 행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2. 수술 과정

국소 마취나 전신 마취 하 둘 다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신 마취 하에 수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주 어린 아이나 예민한 성인, 재수술,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전신마취를 권장합니다. 보통 비중격 만곡이 심할 경우 정면에서 봤을 때 오목한 부분을 절개해 수술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콧구멍 안으로 절개선을 만들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수술 자국이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혈관이 없는 층인 연골막 아래층을 정확하게 박리하면 쉽게 박리 할 수 있습니다. 사골 수직판에서 서골까지를 분리한 후 연골을 중앙에 위치시켜 보면 연골이 뼈와 겹쳐지는 잉여 연골을 확인할 수 있고 이 잉여 연골을 잘라낸 후 전비극에 고정합니다. 휜 상악능도 일부 절제합니다. 잉여뼈로 부목을 만들어 연골을 봉합하고 골부목을 코 아래 얼굴뼈에 봉합합니다. 피가 나는 부분은 지혈하고 찢어진 점막을 봉합한 후 실라스틱 판을 양쪽 비중격에 대고 연골에 봉합해서 고정합니다. 실라스틱 판은 약 일주일간 유지하다가 제거하면 되고 수술 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은 수일 내에 제거합니다. 비중격을 완전히 곧게 만들기 위해서 연골을 무리하게 제거하지 않아야 안장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합병증

비중격 수술을 받고 나서도 코막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불완전하게 교정되지는 않았는지 다른 원인은 없는지 체크해야합니다. 수술 후에 코피가 많이 날 수 있는데 비중격에는 혈관이 많이 발달해 있기 때문입니다. 수술을 끝내기 전에 동맥과 정맥의 출혈을 확실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비중격 혈종이라는 핏덩어리가 생길 수 있는데 붓기와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또 수술 후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비중격 점막이 대칭으로 찢어졌을 때 천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콧등이 안장처럼 함몰된 안장코나 코 끝이 쳐지고 코 모양이 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